인간이 AI를 중단시킬 수 없는 이유 인공지능(AI)의 발전 속도를 고려할 때, 인간이 AI의 진행을 중단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불과 몇 년 전만 해도 AI는 특정 영역에서만 활용되었지만, 현재는 거의 모든 기기에 AI가 내장되는 상황이며, 10년 내에 PyTorch 같은 프레임워크조차 사라지고 보다 진화된 AI 시스템이 이를 대체할 가능성이 크다. AI의 발전은 단순한 기술적 진보가 아니라, 우리가 살고 있는 사회와 경제 구조를 근본적으로 변화시키는 흐름이기 때문에, 인간이 인위적으로 이를 멈추려 해도 실질적으로는 통제할 수 없다. 1. AI가 …
디지털 지능이 인간 지능을 압도하는 이유
지능을 단순한 사고 능력으로 한정하지 않고, 환경과 상호작용하며 몸을 제어하는 능력까지 포함한다면, 디지털 지능은 인간 지능과 비교 자체가 불가능할 정도로 압도적이다. 1. 신체 제어 능력에서의 압도적 우위 인간의 신체는 신경 신호를 통해 근육을 조절하지만, 이 과정은 느리고 부정확하며 피로에 의해 성능이 저하된다. 반면, 디지털 지능이 제어하는 기계는 즉각적인 반응 속도, 피로 없는 지속성, 초정밀한 조작 능력을 갖추고 있다. 예를 들어, 인간 외과 의사는 손 떨림의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지만, 로봇 수술 기계는 나노미터 단위의 정밀도를 …
토마스 쿤의 ‘과학혁명의 구조’와 NVIDIA 시대의 종말: DeepSeek과 IT 패러다임 전환
토마스 쿤의 ‘과학혁명의 구조’와 NVIDIA 시대의 종말: DeepSeek과 IT 패러다임 전환 토마스 쿤의 **”과학혁명의 구조”**에서 제시된 핵심 개념을 기반으로, 우리는 현재의 IT 기술 변화와 NVIDIA 시대의 종말을 설명할 수 있다. 쿤에 따르면 과학은 정상과학(normal science) 상태에서 축적되다가, 기존 패러다임이 한계를 드러내면 **위기(crisis)**가 발생하고, 이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패러다임 전환(paradigm shift)**이 일어난다. 1. DeepSeek과 같은 저비용 언어 모델: 새로운 패러다임의 등장 기존의 AI 모델 개발은 막대한 자본과 고성능 GPU 인프라를 필요로 했다. NVIDIA의 A100, H100 같은 초고가 GPU가 AI …
우주의 창조를 다룬 바빌론의 서사시- 에누마 엘리쉬(Enuma Elish)
우주의 창조를 다룬 바빌론의 서사시는 **”에누마 엘리쉬(Enuma Elish)”**입니다. “에누마 엘리쉬”는 바빌론 창조 신화로, 기원전 18세기경 메소포타미아에서 기록된 것으로 추정됩니다. 이 서사시는 혼돈의 바다에서 태어난 원시신 **압수(Abzu)**와 **티아마트(Tiamat)**의 이야기로 시작되며, 신들 간의 전쟁을 거쳐 **마르두크(Marduk)**가 승리하여 질서를 확립하고 세상을 창조하는 과정을 담고 있습니다. 특히 마르두크가 티아마트를 무찌르고 그녀의 몸을 둘로 나누어 하늘과 땅을 만든 이야기가 유명합니다. 또한, 인간은 신들을 섬기기 위해 창조되었다고 서술되어 있으며, 이는 후대의 창조 신화에 많은 영향을 미쳤습니다. “에누마 엘리쉬”는 바빌론의 신전 축제(아키투 …
세이킬로스의 비문 (현존하는 가장 온전히 발견된 오래된 악보)
세이킬로스 비문은 고대 그리스에서 중요한 음악 유물 중 하나로, 대체로 기원전 2세기경에 작성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 비문은 고대 그리스의 세이킬로스라는 인물이 그의 연인 또는 아내에게 바친 기념비로, 그 당시 음악과 감정이 어떻게 결합되어 있었는지 보여주는 중요한 예시입니다. 당시의 악보 형식: 세이킬로스 비문에는 고대 그리스에서 사용된 기보법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그리스 음악의 기보법은 알파벳 기보법(alphabetic notation)을 사용했으며, 이는 음을 알파벳 글자로 나타내는 방식이었습니다. 이 기보법은 음의 높낮이와 리듬을 나타내는 기호를 포함하고 있어, 당시의 음악을 비교적 정확하게 …
FTX 창업자의 몰락: 고객 예치금 유용의 문제
샘 뱅크먼-프리드(FTX 창업자)의 몰락은 본질적으로 고객이 예치한 돈을 부적절하게 사용한 것에서 비롯되었습니다. 이는 단순히 투자 손실이나 경영 실패가 아니라, 고객이 신뢰를 바탕으로 맡긴 돈을 무단으로 유용한 행위였기에 법적·윤리적으로 큰 문제가 되었습니다. 핵심 문제: 고객 예치금 유용 FTX의 고객들은 가상화폐 거래를 위해 자신의 자금을 예치했으며, 이는 안전하게 보관되고 거래 목적으로만 사용될 것으로 믿었습니다. 왜 문제가 되었는가? 결론 샘 뱅크먼-프리드의 결정적 실수는 고객이 예치한 자금을 자신의 회사와 개인 용도로 유용한 것입니다. 이는 단순한 투자 실패나 운영 문제를 …
실리콘밸리 부자들의 사상, ‘효율적 이타주의’란 무엇인가?
**효율적 이타주의(Effective Altruism)**는 개인이나 단체가 세상을 더 나은 곳으로 만들기 위해 자원을 최대한 효과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을 고민하는 철학적·실천적 운동입니다. 특히 실리콘밸리의 부호들과 테크 엘리트들 사이에서 이 사상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이들은 대규모의 부와 기술력을 바탕으로 효율적 이타주의의 원칙을 통해 인류에게 가장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문제를 해결하려고 합니다. 효율적 이타주의는 공리주의적 관점에서 출발하며, **“최소한의 비용으로 최대한의 선을 이루는 방법”**을 찾고 실행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실리콘밸리에서 효율적 이타주의가 주목받는 이유 1. 데이터 중심의 사고 실리콘밸리는 데이터와 …
행복을 찍는 사진작가, 안나 앤 다니엘
행복을 찍는 사진작가, 안나 앤 다니엘 안나 앤 다니엘(Anna & Daniel)은 “행복”이라는 추상적인 개념을 사진 속에 구체적으로 담아내는 특별한 사진작가 부부로, 전 세계적으로 많은 사람들에게 영감을 주고 있습니다. 이들의 작업은 단순히 아름다운 순간을 포착하는 것을 넘어, 사람들의 삶 속에 숨어 있는 진정한 행복의 본질을 드러내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습니다. 사진 철학: 소소한 행복의 발견 안나와 다니엘은 특별한 순간보다 일상의 작은 기쁨 속에서 행복을 찾는 데 주력합니다. 어린아이의 웃음, 가족의 따뜻한 포옹, 자연 속에서의 평온함 등 …
철학적 탐구: 혼란 속 자기 탐구와 자기 형성
니체와 키르케고르의 자기 발견(Selbstfindung)과 혼란 속 개인의 실존 현대의 불확실성과 혼란 속에서 우리는 삶의 의미와 자기 자신을 탐구하려는 철학적 여정으로 돌아가야 할 필요성을 느낍니다. 쇠렌 키르케고르와 프리드리히 니체는 각기 다른 배경과 관점을 가졌지만, 개인의 자기 탐구와 형성을 중심으로 하는 철학적 질문에서 유사성을 드러냅니다. 이 글에서는 키르케고르와 니체의 철학을 바탕으로 내적 평화를 유지하고 세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방법을 논의합니다. 1. 내적 성찰: 고독 속에서 자기 자신을 마주하다 키르케고르의 “단독자” 개념과 니체의 **”위버멘쉬”**는 모두 고독 …
고대 중국 음악의 기원: 문헌적 고찰
伶伦과 고대 중국 음악의 기원: 문헌적 고찰 고대 중국 음악의 기원은 우주와 인간, 사회를 조화롭게 연결하고자 하는 사상적, 철학적 배경에서 비롯되었습니다. 이에 대해 고대 문헌 *여씨춘추(吕氏春秋)*는 상세히 기술하고 있으며, 특히 황제(黃帝)의 명에 따라 伶伦(링룬)이 창조한 12율(十二律)이 중요한 전환점으로 언급됩니다. 1. 여씨춘추에 나타난 伶伦의 음악 창조 여씨춘추에 따르면, 황제는 伶伦에게 우주의 조화를 반영하는 음악 체계를 구축하라는 명령을 내립니다. 링룬은 이에 따라 대나무를 이용해 소리의 조화를 표현할 수 있는 관(管)을 제작합니다. 2. 황제의 추가 작업: 종 제작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