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되는 것도 되게 하라”는 왜 고도화를 방해하는가 – 성장의 발목을 잡는 문화

1. ‘되는 것’을 더 잘 되게 하려는 고도화

고도화란 이미 작동하고 있는 시스템이나 서비스, 업무 방식을 더 효율적으로, 더 정교하게, 더 사람 중심적으로 개선해 나가는 일입니다. 이는 단순한 ‘개선’이 아니라 지속 가능성효율성, 사람 중심의 시스템 설계를 전제로 합니다.

고도화는 기술, 조직, 커뮤니케이션, 워크플로우 등 모든 요소가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성장하는 과정입니다.


2. “안되는 것도 되게 하라”의 본질과 문제

군대식으로 자주 사용되는 이 말은 다음과 같은 철학을 내포합니다:

  • 왜 안 되는지를 따지지 말고 하라
  • 시스템이 안 되어 있어도 사람이 버텨라
  • 논리보다 의지가 우선이다
  • 성공 여부보다 시도 자체에 의미를 둔다

이러한 방식은 단기적으로 ‘성과’를 내는 듯 보이지만, 근본적인 구조 개선을 외면하게 만들고, 사람이 시스템을 대체하는 착각에 빠지게 만듭니다.


3. 실제 사례: A 대기업의 내부 자동화 실패 사례

배경:
국내 굴지의 제조업체 A사는 공장 자동화 고도화 프로젝트를 진행하던 중, 일정 압박과 결과주의적 문화 속에서 **“사람이 해결하면 되지”**라는 분위기가 팽배했습니다.

문제 발생:

  • 자동화 로직에서 누락된 공정은 직원들이 손으로 입력
  • 시스템 오류 발생 시 야근과 철야로 해결
  • “왜 안 되는가?”를 묻기보다, “누가 안 했는가?”를 따짐
  • 고장이 나도 수정보다는 “임시방편 조치”만 반복

결과:

  • 고도화 프로젝트는 ‘형식적인 완료’ 후 중단
  • 고장률은 줄지 않고, 수작업만 늘어남
  • 핵심 인력 퇴사 증가
  • 품질 관리 지표는 도리어 악화됨

핵심 문제:
“안되는 것도 되게 하라”는 조직 문화가 시스템적 접근을 방해하고, 기술이 발전할 기회를 사람의 노동력으로 덮어버린 것입니다.


4. 고도화를 위한 패러다임 전환

진짜 고도화는 아래와 같은 질문에서 시작됩니다:

  • 왜 이 업무는 사람이 매번 수작업해야 하지?
  • “이 문제는 시스템이 해결할 수 있는가?”
  • “사람이 실수할 수 있는 구조는 아닌가?”
  • 이 문제를 반복하지 않게 하려면 무엇이 바뀌어야 하는가?

이는 단지 시스템을 도입하는 것을 넘어, 사고방식과 문화의 변화까지 포함하는 과정입니다.


5. 결론: 고도화와 군대식 정신주의의 분리 필요

“안되는 것도 되게 하라”는 말은 극한 상황에서의 생존 방식일 수는 있어도,
지속가능한 성장과 발전, 고도화의 철학과는 분명히 충돌합니다.

❌ 고도화는 사람이 시스템을 돕는 구조가 아니라,
시스템이 사람을 돕는 구조를 만드는 것입니다.

이제는 우리 조직도, 사회도 “되게 만들자”는 방향으로 성장해야 합니다.
“정신력”이 아닌 구조와 설계, “희생”이 아닌 지속 가능성이 필요한 시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