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이 후 학교의 의미는 도전을 받고 있습니다. 아이들 중에는 부모에게 “온라인으로도 충분히 배울 수 있는데 학교에 갈 필요가 있나요? 집에서 이만큼 공부 할 수 있는데, 궂이 코로나 걱정까지 하면서 학교에 가야 하나요?” 라고 주장하는 아이도 있습니다.
학교에 가는것을 아이에게 어떻게 설명 해 주면 좋을까요?
코로나 기간동안 아이들이 온라인 수업을 경험했습니다. 무료로 시청할 수 동영상 사이트와 기타 교육 사이트에서 배운 아이도 적지 않을것입니다.
그리고 그 중에는 “온라인 학습이 더 학교 선생님 수업 보다 훨씬 재미 있고 공부가잘 된다” 라고 생각한 아이도 있을 것임에는 틀림없습니다.
실제로 학습 내용의 집중도와 압축성은 준비된 온라인 강좌가 우수한것이니까요.
이번 코로나는 장기적으로 학교에 가지 않은 아이들에게는 학교에 대한 가치관을 변화시켜 버렸을 것입니다.
코로나는 사실 “학교의 존재를 되묻는 기회”가 되었고, 코로나 이 후도 학교는 어쩌면 이전의 학교와 같은 모습으로 돌아 갈 수 없을지도 모릅니다.
그러나 당장 온라인 학습만으로 공부가 가능하므로 학교는 필요하지 않다고 하는 아이를 어떻게 해야 할까요. 그런 아이와 대화를 하는 방법입니다.
여기서 아이는 학교는 그저 “주요 교과 공부를 할 장소”라고 파악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또한 평소에는 일방 통행 식으로 수동적 형태의 수업인데 갑자기 자주성을 요구하는 모습에 모순을 느끼고 “학교에 불신 ‘이 태어나기도 합니다. 대체로 이런 비판을 생각하는 아이는 정신 연령이 높고 문제 의식도 가지고 있는 애들입니다. 이런 아이의 통찰력은 일정한 설득력도 있고, 부모는 어떻게 대답해야할지 난감할 것입니다.
이런 경우 부모로서 쉽게 말해 버리는 것이 다음과 같은 형태의 응답입니다.
【전형적인 응답 예] · 학교는 공부뿐만 아니라 인격을 쌓는곳이다. 친구들과 만나 이야기를한다 든가, 교우 관계를 만들고, 인맥을 만들고, 그리고 인내력을 배우기 위한 장이기도하다. 또 온라인만으로는 배울 수 없는 실기 과목 등도 학교에서 배울수 있고,동아리 활동을 할 수 있다. 이런말은 확실히 잘못은 없지만, 어느정도의 문제 의식 수준을 가진 아이들이라면 응답은 쉽게 뒤집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오히려 교우 관계로 자신은 기존에 스트레스를 받았는데, 온라인 학습으로 나를 괴롭히는 애들을 안만나는것만으로도 나는 정말 행복했다.실기 계열 과목에는 관심이 없고, 동아리 활동도 인터넷으로 할 수 있다. 나는 차라리 기존에도 검정고시를 생각할때가 많았다.
이 이야기의 논점은 부모도 아이도 모두 틀린 말을하지 않고 단순히 입장과 가치관의 차이라는 점입니다. 그런 경우, 상대를 설득하려고만 진행하면 문제는 제대로 해결하지 않습니다.
일단 부모는 지금까지 자신이 자라온 환경과 경험에서, 그래서 형성된 사고의 틀, 가치관을 자녀에게 적용해서 설득하려고합니다. 그러다 보면 결국 아이를 압박하게 되고 그러면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러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다음의 방법을 따라 해 보세요.